[2022 동물약사업무 워크숍] 반려동물의약품 산업과 시장현황①
상태바
[2022 동물약사업무 워크숍] 반려동물의약품 산업과 시장현황①
  • 개원
  • [ 230호] 승인 2022.08.18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반려동물의약품 2027년 1,834억 전망

한국동물약품협회가 지난 6월 23~24일 개최한 ‘2022 동물약사 업무 워크숍’에서 ㈜노터스 김도형 대표가 ‘반려동물의약품 산업과 미래’를 주제로 반려동물의약품 시장 현황과 특성 및 기업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동물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9년 229억7,306만 달러로 2027년에는 296억 9,819만 달러로 전망, 4.6%의 연평균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 반려동물용 특수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9년 88억7,652만 달러에서 2024년 111억 7,436만 달러로 예측, 연평균 4.71%의 성장률을 전망했다.

국내 동물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9년 2억4,845만 달러에서 2027년 3억352만 달러로 성장해 연평균 3.8%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했다.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의 경우 글로벌은 2019년 102억2천만 달러에서 2027년 137억4천2백만 달러로 5.1%, 국내는 1억1천만 달러에서 1억4천만 달러로 4.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의약품 종류별로는 글로벌 시장의 경우 2019년에서 8년 후인 2027년까지 약제 4.0%, 백신 5.7%, 약용사료 첨가제 4.7%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 반면, 국내 시장은 2019년 대비 2027년에 약제 1억 5천8백만 달러로 3.2%, 백신 8천만 달러로 4.9%, 약용사료 첨가제 6천4백만 달러로 4.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편집자주> 

 


주요기사
이슈포토
  • [본지 단독 인터뷰] 성제경(SNU반려동물검진센터) 이사장 “당초 취지대로 운영할 것....지켜봐 달라” 
  • 대구·경북 수의사들, 서울대 앞 ‘SNU 1인 릴레이 시위’
  • ‘경기수의컨퍼런스’ 7월 19일(토)~20일(일) 수원컨벤션센터
  • “오스템임플란트, 인테리어사업 동물병원 진출”
  • 이안동물신경센터로 복귀하는 김 현 욱 센터장
  • 특수동물의학회 ‘제2회 학술대회’ 6월 22일(일) 서울대 스코필드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