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루 학술정보②] 개 원발성 녹내장에서 염증의 역할과 관리(上)
상태바
[해마루 학술정보②] 개 원발성 녹내장에서 염증의 역할과 관리(上)
  • 개원
  • [ 289호] 승인 2025.02.06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녹내장 환자 안방수 다양한 사이토카인 양상 띠어”

1. 녹내장과 염증 사이의 pathophysiology
혈액-안방수 장벽(blood-aqueous barrier) 측면에서 안압이 상승하면 전포도막 내 혈관이 손상되며, 이는 임상적으로 전안방 부유물(flare)과 부유 세포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특히 안압을 급격하게 낮추는 경우 저산소 상태였던 조직이 재관류됨에 따라 더 악화될 수 있다. 

홍채의 허혈에 의해 산동이 일어나면서 홍채 뒷면이 수정체에 문질러지고 색소가 먼지처럼 부유하며, 이는 수정체 전낭이나 각막 내피, 우각에 침착된다. 이에 따라 안방수는 생화학적 성분 변화를 겪게 된다. 

안압의 상승은 혈액-망막 장벽(blood-retinal barrier) 또한 손상시키며, 망막 혈관 내피 투과성이 증가하고, 염증 인자가 망막과 망막혈관 주변에 침착된다.

[그림 1] 안압 상승이 혈액-안방수 장벽과 혈액-망막 장벽에 미치는 영향.

이는 호중구-조직구성 염증에 해당하고, 신경세포가 사멸되는 동안 형성되는 항원에 대해 자가항체가 형성되면서 망막 및 시신경의 퇴행이 가속화된다[그림 1].

이에 따라 녹내장 환자의 안방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이 증가되어 있는 양상을 띠며, 안방수뿐만 아니라 눈물에서도 유사한 염증 인자들이 확인된 바 있다.

녹내장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carbonic anhydrase inhibitors, prostaglandin analogues, β-blockers 등의 항녹내장 안약 대부분이 염증을 일으키고, 안구 표면의 항상성을 깨뜨린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에서는 메이봄선 기능장애, 안구 건조증(술잔 세포 수 감소), 안검염, 각막염(각막 감각 저하), 결막충혈, 결막각화 등 안구 표면에 일어날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의 질환이 항녹내장 안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녹내장과 염증 사이의 악순환
안구 표면 측면에서 앞서 언급된 안약 부작용은 또다른 악순환을 일으키게 된다. 항녹내장 약물에 의해 혈액-눈물 장벽(blood tear barrier)이 깨지게 되면 눈물막에서의 단백 결합이 증가되고, 이는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영향을 끼친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은 안약의 방부제가 안구 표면으로부터 더 깊이 침투할 수 있게 만들고, 궁극적으로 섬유주(trabecular meshwork)에 영향을 미치고, 결론적으로 안방수 배출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음호에 계속>

 


주요기사
이슈포토
  • [300호 특집기획Ⅱ] 2025 동물병원 및 수의사 현황과 분포...반려동물병원 5,474개소 및 수의사 7,895명 종사
  • [300호 특집기획Ⅰ] 수의사의 미래를 묻다 | 변화하는 시장, 생존 전략은?①
  • 윤헌영(건국대) 교수팀과 김종인(VIP청담점) 원장팀, SCI급 논문 게재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5 한국반려동물보고서 ①
  • 이영락 회장 서울대 총장에 직접 항의 “SNU반려동물검진센터 철폐하라”
  • [클리닉 탐방] 웨스턴동물의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