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3 반려동물 복지실태와 개선과제①
상태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3 반려동물 복지실태와 개선과제①
  • 개원
  • [ 290호] 승인 2025.02.20 1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려동물 영업업체 ‘미용업’ 가장 많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동훈 연구원이 발표한 ‘반려동물 복지실태와 개선과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 비율은 28.2%로 2020년 이후 소폭 감소했으나 2023년 증가 추세로 전환됐다. 이는 2010년(17.4%) 이후 연평균 3.8% 증가한 수치다. 동물보호법 내 명시된 반려동물 영업업체는 △동물생산업 △동물수입업 △동물판매업 △동물장묘업 △동물전시업 △동물위탁관리업 △동물미용업 △동물운송업 등 총 8개 업종으로 2023년 기준 총 20,575개소가 운영 중이다. 종사자 수는 총 25,506명으로 2016년 이후 연평균 24.4% 증가했다. 반려동물 영업 업체는 ‘서울(22.3%)’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경기(21.7%), 부산(8.3%), 전남(7.3%)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업자 대상 법정 의무교육 만족도 조사 결과 ‘동물복지 인식 향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영업에 대한 실질적 도움’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람 대비 반려동물 복지의 상대적 중요성은 98.4%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평균 복지 수준은 69.1%인 것으로 밝혀졌다. <편집자주>

 


주요기사
이슈포토
  • [300호 특집기획Ⅱ] 2025 동물병원 및 수의사 현황과 분포...반려동물병원 5,474개소 및 수의사 7,895명 종사
  • [300호 특집기획Ⅰ] 수의사의 미래를 묻다 | 변화하는 시장, 생존 전략은?①
  • 윤헌영(건국대) 교수팀과 김종인(VIP청담점) 원장팀, SCI급 논문 게재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5 한국반려동물보고서 ①
  • 이영락 회장 서울대 총장에 직접 항의 “SNU반려동물검진센터 철폐하라”
  • [클리닉 탐방] 웨스턴동물의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