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이첨판폐쇄부전증(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MMVD)은 심장이 수축할 때 혈액이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질환으로 이첨판의 퇴행성 점액종성 변화가 주된 원인이다.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못하여 역류하는 혈액에 의해 좌심방은 확장되고, 만성적인 용적 과부하로 좌심실도 확장된다. 심장의 보상 기전이 한계에 다다라 좌심실 수축력이 감소하고, 이첨판 역류량과 순환 혈액량이 더욱 늘어나면서 좌심방 압력이 증가해 결과적으로 좌심부전을 초래한다.
좌심방 감압술은 ACVIM 가이드라인에 준한 치료 프로토콜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stage D 환자나 재발성 폐수종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 좌심방 감압술이란 심방중격에 인위적인 좌우 단락을 만드는 시술로 좌심방 압력을 완화하고, 좌심실 전부하를 경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증례1
12살 중성화 암컷 푸들이 좌심방 감압술 진행 차 내원했다.
한 달 전 MMVD stage C로 진단된 이래로 폐수종에 대한 입원 치료를 마치고 귀가하면 2~3일 뒤 재발하는 상황이 반복됐다. 이첨판 변성 및 좌심 리모델링(LA/Ao 2.27, LVIDDn 2.02)이 심하고, 부분 건삭파열이 동반돼 있었다.
V-clamp 장착 수술 및 건삭재건술(개심술)에 대한 사전 검사를 받았으나 모두 부적격으로 판정됐다.
시술 전 흉부 방사선 상 심장 크기는 늑간 4.1배, VHS 11.3v, VLAS 2.9v로 좌심방, 좌심이가 중등도로 종대됐고, 우측 폐 후엽의 경미한 간질 침윤은 초기 심인성 폐수종으로 고려됐다.
심장 초음파 검사 상 E peak 1.36m/s, E/Em 12.23, E/IVRT 3.15로 좌심방 압력이 상승돼 있었고, 수축기 폐동맥압은 57mmHg 이상으로 폐고혈압이 중등도로 평가되었으나 관련 임상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좌심방 감압술은 전신 마취 하에 좌측 횡와위로 실시됐다. 우측 바깥목정맥에 5 Fr sheath를 장착하고, 후대정맥으로 wire를 삽입한 후 septal sheath로 교체하였다.
중격천자바늘과 dilator를 로딩하여 난원와(Fossa ovalis, FO)를 천자하고, 천자 부위를 8mm cutting balloon과 10mm high pressure balloon으로 차례로 확장했다[그림 1].
천자 후 좌심방 압력이 수축기 63mmHg, 이완기 13mmHg에서 수축기 14mmHg, 이완기 3mmHg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고 시술은 종료됐다.
시술 다음 날 흉부 방사선 상 폐 침윤이 개선됐다[그림 2]. 심장 초음파 검사 상 의인성 심방중격 결손부는 수축기, 이완기 모두 좌우 단락으로 확인됐고, 좌심방 크기와 이완기 좌심실 직경 모두 감소했다(LA/Ao 2.27->1.98, LVIDDn 2.02->1.71).
좌심방 압력 상승 관련 지표는 시술 전보다 개선되었으나(E peak 1.36->1.19m/s, E/Em 12.23->10.95, E/IVRT 3.15->1.83, [그림 3]) 삼첨판 역류량이 중-심등도로 증가했고, 수축기 폐동맥압은 97mmHg 이상으로 뚜렷하게 상승해 우심 부전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다음호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