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루 학술정보④] 수술 중 담낭점액종 환자에서의 담관 개통성의 평가 방법
상태바
[해마루 학술정보④] 수술 중 담낭점액종 환자에서의 담관 개통성의 평가 방법
  • 개원
  • [ 298호] 승인 2025.06.19 14: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형광 담관조영술 적용 시 합병증 ↓ 및 수술결과 ↑”

담낭점액종(Gallbladder Mucocele, GBM)은 담낭에 과도한 점액과 담즙이 축적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이는 점액이 담낭관(Cystic duct) 및 총담관(Common Bile Duct, CBD)으로 확장돼 부분적 혹은 완전한 간외성 담도 폐색(EHBO)을 일으킬 수 있다. 담관 폐색이나 담낭 파열이 의심된다면 응급수술이 진행돼야 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예방적으로 선택적 수술(elective surgery)을 진행하기도 한다.


담관 개통성 확인의 중요성
담관이 폐색되었는지 여부는 수술 전 초음파를 통해 담관 확장 여부를 확인하거나 혈액 검사에서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 수치의 상승 및 구토와 같은 임상증상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완전 폐색이 아닌 부분 폐색이 있는 경우에는 혈액 검사와 임상증상이 뚜렷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담낭점액종 환자의 경우 담낭절제술 중 총담관의 개통성을 확인하는 것은 수술 후 담즙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개통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수술 후 담관이 막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담관 개통성 확보를 위한 방법
담낭과 담관의 개통성을 확인하기 위해 담관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세척해 담관의 개통성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수술 후 담석 또는 잔여 담즙 덩어리로 인한 담즙 흐름 문제를 줄이고, 총담관의 개통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담관을 세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Normograde(NG) Flushing: 담낭점액종이나 담즙과 같은 담낭 내 내용물을 제거한 후 담낭을 통해 세척하는 방법이다.

2. Retrograde(RG) Flushing: 십이지장을 절개한 후 십이지장개구부(Major Duodenal Papilla, MDP)를 통해 세척하는 방법이다[그림 1]. 


담관 세척의 합병증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한계가 있다. 특히 담관 손상의 위험과 수술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역행성(Retrograde) 카테터 삽입은 십이지장개구부에 접근하기 위해 십이지장 절개술이 필요하다. 이는 수술 시간을 연장시키고 마취 시간을 늘리며, 장 유착 및 천공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술 중 딜레마
담관 폐색이 명확하다면 담관 세척의 한계나 합병증 여부와 상관없이 무조건 세척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초음파 상 담관 폐색이 명확하지 않지만 담관의 일부 확장 등으로 인해 담관의 개통성 평가가 애매한 경우 담관 세척의 여러 합병증으로 인해 수술 중 딜레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술자는 세척의 필요성 및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선의 결정을 내려야 한다.


형광 담관조영술의 도입

1937년 Mirizzi에 의해 처음 도입된 수술 중 담관조영술(Intraoperative Cholangiography, IOC)은 담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권장되고 있다. 최근 의학에서는 ‘인도시아닌 그린(Indocyanine Green, ICG)’이라는 형광물질을 사용한 근적외선(Near-Infrared, NIR) 형광 담관조영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도시아닌 그린은 혈관 내 혈장 단백질과 빠르게 결합 후 간에서 대사된 후 담즙으로 배설된다. 이런 원리를 통해 인도시아닌 그린을 통한 형광조영술로 담도계의 시각화가 가능하다. 이 기술은 실시간으로 담관의 형광 이미지를 제공해 수술 중 담관의 개통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ICG를 이용한 담관조영술의 경우 조영제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방사선 노출이 없으며, 비침습적으로 수술 시야를 방해하지 않아 인의에서는 수술 중 담도계를 시각화 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그림 2].


수의학에서의 형광 담관조영술 적용
최신 수의학 연구에서는 인도시아닌 그린을 사용한 형광 담관조영술이 조금씩 연구되고 있다. 특히 담낭점액종(Gallbladder Mucocele, GBM) 환자에서 ICG를 정맥 주사해 담도계를 시각화하고, 이를 통해 담관의 개통성을 평가할 수 있다고 보고됐다. 이는 기존의 방법보다 덜 침습적이며, 실시간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담관의 개통성 평가가 애매할 때 형광 담관조영술을 이용해 담도계를 시각화한 후 세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불필요한 합병증을 줄이고, 수술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됐다.


담낭 절제 및 담도 평가에서 ICG-NIR 영상 기술의 활용
① 담관 구조 및 개통성 확인
- 담낭 절제 후 담관의 개통성이 유지되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다.

- ICG를 정맥 주사한 후 NIR 영상으로 담관 내 조영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해 담관 폐색 여부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다.


② 담낭 동맥 및 간문맥 혈류 평가
- 담낭 및 주변 혈관 구조를 시각화해 안전한 절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 ICG를 이용한 혈관 시각화를 통해 혈류 이상을 조기에 탐지하고, 수술 중 혈관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③ 최소 침습 수술에서 정확도 향상

- ICG-NIR 영상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 복강경 수술보다 더 정밀한 절제가 가능하며, 담관 구조의 손상 없이 안전한 절제가 가능하다[그림 3].

담낭점액종 환자에서 담관의 개통성 확인은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기존의 카테터 삽입 및 세척 방법은 확실하고 효과적일 수 있지만 그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와 판단이 필요하다. 

최신 ICG를 이용한 근적외선 형광 담관조영술(NIR fluorescence IOC)은 최소 침습적이면서도 담관 및 혈관 구조를 명확히 시각화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은 절제 범위를 더욱 정밀하게 설정하고, 불필요한 조직 손상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수술 중 담즙 흐름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담관 개통성 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고,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데 기여한다. <完>

 


주요기사
이슈포토
  • [본지 단독 인터뷰] 성제경(SNU반려동물검진센터) 이사장 “당초 취지대로 운영할 것....지켜봐 달라” 
  • 대구·경북 수의사들, 서울대 앞 ‘SNU 1인 릴레이 시위’
  • ‘경기수의컨퍼런스’ 7월 19일(토)~20일(일) 수원컨벤션센터
  • “오스템임플란트, 인테리어사업 동물병원 진출”
  • 이안동물신경센터로 복귀하는 김 현 욱 센터장
  • 특수동물의학회 ‘제2회 학술대회’ 6월 22일(일) 서울대 스코필드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