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특강] 로얄동물메디컬센터-외과⑧ 슬개골 탈구의 진단과 치료 <下>
상태바
[임상특강] 로얄동물메디컬센터-외과⑧ 슬개골 탈구의 진단과 치료 <下>
  • 개원
  • [ 116호] 승인 2017.11.27 10: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케이스로 본 슬개골 탈구 치료법
 

[Case]

품고
5살령의 중성화 한 암컷, 10kg의 코카스파니엘 환자가 로얄동물의료센터에 좌측 후지의 파행을 주증으로 내원 하였습니다.

진단
 촉진을 통해 진단하였고, X-ray, CT를 통해 왼쪽 슬개골탈구 G4로 확진하였습니다<그림 4>.

X-ray 영상에서 Pelvis & Hindlimb의 소견으로는 craniocaudal view에서 양측 patella의 음영은 trochlear groove를 벗어나 medial 측면으로 변위되어 관찰되며, 양측 femur의 lateral condyle의 외측 면이 irregular하게 관찰되고, 양측 tibial head의 lateral 측면으로 mild한 osteohpyte가 관찰되었습니다. 

CT 영상에서 Pelvis & stifle의 소견으로는 양측 femur lateral condyle의 외측 면에서 관찰되는 enthesophyte, 양측 lateral fabella의 bipartite, tibial head의 osteophyte 등은 방사선 촬영 소견과 유사하게 관찰되었고, 양측 femur의 intercondylar fossa의 enthesophyte가 추가적으로 관찰되었습니다.

치료
4단계이므로 Trochlear Block Resection을 통해 활차구를 더욱 깊게 만들었고, Tibial Tuberosity Transposition을 하여 Q-angle의 각도를 정상에 가깝게 만들었으며, Release of the quadriceps와 Rectus femoris transposition으로 슬개골의 당김을 이완시켰습니다<그림 5, 6>.

예후
술 후 5일 weight-baring을 시작하였고, cage resting하며, 술 후 7일 퇴원했습니다. 술 후 14일 stitch out하였고, metacam(meloxicam, 0.1 mg/kg, initially 0.2 mg/kg, sid., p.o.) 처방하였습니다. <完>


참고문헌
Kaiser, S., D. Cornely, W. Golder, M. Garner, H. Waibl and L. Brunnberg (2001). "Magnetic resonance measurements of the deviation of the angle of force generated by contraction of the quadriceps muscle in dogs with congenital patellar luxation." Veterinary surgery 30(6): 552-558.


주요기사
이슈포토
  • [300호 특집기획Ⅱ] 2025 동물병원 및 수의사 현황과 분포...반려동물병원 5,474개소 및 수의사 7,895명 종사
  • [300호 특집기획Ⅰ] 수의사의 미래를 묻다 | 변화하는 시장, 생존 전략은?①
  • 윤헌영(건국대) 교수팀과 김종인(VIP청담점) 원장팀, SCI급 논문 게재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5 한국반려동물보고서 ①
  • 이영락 회장 서울대 총장에 직접 항의 “SNU반려동물검진센터 철폐하라”
  • [클리닉 탐방] 웨스턴동물의료센터